퍼주는 뉴스

만나이 계산기 계산방법 본문

카테고리 없음

만나이 계산기 계산방법

☆★† 2023. 1. 9. 15:31

만나이 계산기 계산방법

 

 

새해가 되면 항상 궁금한 게 하나 있는데요. 바로 본인의 만 나이입니다. 우리나라는 일상생활 속에서 흔히 말하는 나이가 한국식 나이인데 이로 인해 불편한 문제도 적지 않습니다. 각종 서류 발급시에도 잘 따져봐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자신의 정확한 만 나이를 알고 있어야 하는데 어떻게 계산하는지 알아봤습니다.

 

 

만나이 계산기 바로가기

 

 

 

만나이를 알기 위해서는 먼저 생일 기준 또는 연도 기준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본인의 출생연도별 만 나이를 계산할 수 있어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1985년 12월 31일생이라면 2023년 기준으로는 36살이지만, 2022년 기준으로는 37살이 됩니다.

 

 

그러니까 본인 생일이 지났을 경우에는 한 살 먹는 것이 되고 아직 생일이 지나기 전이라면 기존 나이 그대로 유지가 됩니다. 보다 정확한 나이를 알 수 있는 포인트는 바로 주민등록상 생년월일이라는 점입니다.

 

 

지금까지 한국에서는 태어나자마자 1살이었지만 이제는 법이 개정되어 0살이 됩니다. 이는 2023년 6월 28일 기준으로 만나이 도입 시행이 됩니다. 다만 아직 관습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한국식 나이이기 때문에 헷갈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자신의 주민등록상 생일을 기준으로 계산하면 편합니다.

 

 

또 한 번 예를 들면 1990년 3월 5일생일 경우 2023년에는 33살이 됩니다. 1월 1일이 되면 1살 추가 되는 것이 아니라 생일이 지나야 1살 추가가 되는 것이고, 태어나자마자 0살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기존 한국식 나이에서 1살을 또 빼면 됩니다. 헷갈리시나요? ㅋㅋ 정 복잡하시면 만 나이 계산기를 통해 계산해보시길 바랍니다.

 

 

만나이 계산기👈

 

 

만나이 계산기 계산방법

728x90
반응형
Comments